김주현 웅진한의원 원장
임신과 출산은 일종의 큰 노동이다. 장기간의 힘든 노동 뒤에는 몸의 손상이 뒤따르므로 반드시 회복하는 시간을 필요로 한다. 임신의 경우 회복 기간을 출산 후부터 100일까지로 보고 있는데, 이 기간 동안 조리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신체능력을 4배까지 끌어올릴 수도, 후유증을 오래 겪을 수도 있다. 따라서 지금 당장은 특별한 불편이 없더라도 자궁이 잘 회복되도록 적극적인 치료를 해 줘야 한다. 유독 한국에서 산후조리 문화가 성행하는 이유는 동양 여자들의 체형이 서양인과 달라 출산할 때 몸에 더 무리가 가기 때문이다. 한국을 포함한 북방 아시아인의 골반근력 자궁 기능은 서양인보다 약하다.
그렇다면 산후 질환의 한방 치료는 어떻게 이루어질까? 출산 후에는 한약을 복용하면서 조리하는 것을 권하는데. 출산 직후(산후 10일)에는 어혈을 제거하고 자궁 수축을 돕는 처방을 쓴다. 그 후에는 약해진 체력과 소화 기능을 보강해주는 등 회복을 위한 산후 보약을 처방하게 된다. 만약 출산 후 조리를 충분히 하지 못한다면 다양한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는데, 빈도가 높은 질환으로는 산후풍, 산후 부종, 산후 우울증 등이 있다.
먼저 산후풍은 출산 후 발생 빈도가 가장 높은 질환 중 하나로, 출산 후 혈이 부족하고 어혈이 생긴 상태에서 찬 기운에 노출될 경우 생기게 된다. 증상은 이유 없이 온 몸이 쑤시듯 결리고 뼈마디가 시린 느낌이 들며 팔다리가 무겁고 심한 피로감을 느끼는 것 외에 두통이나 어지럼증이 동반되기도 한다. 치료는 기와 혈을 크게 보하고 어혈을 풀어주며 찬 기운을 체내에서 없애는 것이 기본이다. 산후 6주까지의 기간, 즉 산욕기에 잘 조리를 한다면 산후풍을 예방할 수 있다. 산후풍은 잘 낫지 않으며 최악의 경우 평생을 후유증으로 고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적극적인 치료를 해야 한다.
산후 부종이란 출산 후 몸이 붓는 증상이다. 임신 부종이 산후에도 빠지지 않는 경우와 산후에 발생한 부종을 포함한다. 출산 이후에는 임신 중 증가했던 체중이 빠지고 일시적으로 부종이 생기는데, 정상적인 경우라면 이러한 부종은 시간이 지나면서 땀이나 소변, 분비물 등을 통해 배출되면서 좋아진다. 하지만 붓는 정도가 심하거나 부종이 나아지는 속도가 현저하게 느린 경우에는 산후 부종 치료를 받아야 한다. 이 같은 경우는 분만 직후의 체중 증가와도 관련이 깊어 미용적으로도 적극 해결해야 하는 문제이기도 하다. ‘동의보감’에서는 ‘해산한 뒤에 패혈이 잘 빠지지 못하고 경락에 들어가서 팔다리가 붓게 된 것’이라고 기록돼 있다. 이는 몸에서 빠져나오지 못한 어혈을 잘 제거하고 순환을 개선하면 산후 부종을 호전시킬 수 있다는 뜻이다.
산후 우울증은 출산 후 4주 사이에 심해지는 우울감을 의미하며 갑작스러운 호르몬 변화로 인해 나타나게 된다. 서양 의학에서는 항우울제 등 약물 치료가 우울증의 표준 치료로 여겨지고 있지만, 산후에는 약물의 부작용이나 모유 수유에 미칠 영향에 대한 우려 때문에 항우울제 복용을 꺼리는 경우가 많다. 한방 치료는 산모와 아이 모두에게 안전하면서도 효과적인 치료방법이기 때문에 산후 우울증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