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
총 게시물 515건, 최근 0 건
   
너무 잘 먹어 살찐 몸, 위 꽁꽁 묶어 살 뺀다
글쓴이 : 메디클럽 날짜 : 2014-03-11 (화) 12:05 조회 : 629


[도움말 = 김지헌 웰니스병원 고도비만센터 원장]

- 고도비만 원인과 치료법 -


- 포만감 못느껴 식욕 통제 안돼
- 다이어트·운동 등 대부분 실패
- 약물 복용·지방흡입도 일시적

- 외과적 수술로 최근 주목 받아
- 실리콘 띠로 감아 음식량 조절
- 체중 감량·식습관 노력 최우선


체질량지수(BMI)가 25를 넘으면 비만, 30을 초과하면 고도비만이라고 한다. 우리나라는 지난 10년간 고도비만이 2배 늘었고, 한 연구에서는 고도비만 환자의 평균 생존기간이 정상인보다 10년 이상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비만은 미용적 문제만 있는 게 아니다. 고혈압, 당뇨병, 협심증, 심근경색 등의 원인이 된다. 비만과 관련된 합병증 질환이 23개에 이른다. 심각한 질병인 셈이다. 그 중에서도 고도비만이 더 문제다. 일반적인 비만은 식이요법과 생활습관 개선, 운동 등을 통해 치료할 수 있다.

그러나 고도비만은 이들만으로 쉽게 살을 뺄 수 없고 '요요현상'과 식욕 조절 실패로 포기하는 경우가 수두룩하다. 유럽에서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고도비만인 사람은 다이어트, 운동, 행동수정 요법 등의 치료 후에도 97%가 실패한 것으로 파악됐다. 약물 복용이나 지방흡입 등으로 살을 뺄 수 있지만 일시적이고 그 효과가 오래가지 않기 때문에 육체적 정신적으로 지쳐 결국 체중 조절을 포기하는 경우가 생긴다.

   
복강경 수술을 통한 고도비만 치료.
지방세포는 한 번 커지면 계속해서 커지려는 습성이 있다. 따라서 오랜 기간 강력한 의지를 갖고 체중감량에 임하지 않으면 스스로의 식욕 조절과 같이 자연적인 방법으로 살을 빼는 것은 쉽지 않다.

이에 따라 고도비만 치료법으로 외과적 수술이 근래 주목받고 있다. 복강경으로 진행되는 위밴드(랩밴드) 수술이 그것이다. 이는 식도에서 위로 연결되는 경계 바로 아래 부위에 풍선형태로 된 실리콘 밴드를 감아 위의 용적을 줄여주는 수술이다. 이렇게 하면 적은 양의 음식물 섭취로도 뇌에 포만감을 전달할 수 있어 식사량을 줄여준다. 보통 비만 수술인 위 절제술 등이 있지만 위밴드 수술이 가장 간단하고 안전하다. 상황에 따라 밴드를 조절할 수 있고, 필요한 경우 밴드까지 제거해 원래 상태로 되돌릴 수 있다.

비만이라고 해서 무조건 수술을 하는 것은 아니다. 체질량지수가 30 이상이면서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 지방간, 수면 무호흡증 등 비만 관련 합병증이 있는 경우에 수술이 권장된다.

주부 박모(28) 씨는 고도비만과 요요현상으로 고생했고, 임신이 되지 않아 시험관아기 시술을 여러 차례 받았지만 실패했다. 이 때문에 우울증을 겪다 위밴드 수술을 받은 후 다이어트 도중에 자연 임신이 이뤄졌다. 100㎏이 훨씬 넘었던 강모(41) 씨는 급성심근경색으로 위험한 고비를 넘겼고 내당능 장애(당뇨병 전 단계), 고지혈증, 통풍, 지방간, 역류성 식도염 등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위밴드 수술을 받고 나서 꾸준한 다이어트로 90㎏ 초반의 체중을 유지하며 비교적 건강하게 지낸다.

주의해야 할 점은 이 수술을 받는 것으로 무조건 살이 빠지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수술 후 환자가 건강하게 살을 빼려는 의지 그리고 식생활 습관을 바로잡으려는 노력, 적절한 운동과 하루 1200칼로리(kcal) 정도의 식이요법 등 철저한 관리가 이뤄져야 건강한 다이어트를 보장받을 수 있다. 도움말=웰니스병원 고도비만센터 김지헌 원장


※체질량지수(BMI·Body Mass Index)

몸무게(㎏)를 키의 제곱(㎡)으로 나눈 값이다. 체중에 의해 초래될 수 있는 건강문제의 위험도를 보여주기 위해 사용된다. 지수가 높을도록 위험도가 높다. 예를 들어 키 160㎝에 체중이 각각 76㎏, 90㎏이면 체질량지수가 30, 35로 나온다. 175㎝에 90㎏이면 지수 29가 된다.

◇ 비만 관련 질환 중 건강보험 진료비 지출이 높은 항목
 질환명비율질환명비율
고혈압36.2%허혈성 심장질환9.2%
당뇨21%골관절염7.9%
뇌졸중12%만성요통6.9%



2014. 03. 11 국제신문 24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