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청 자료… 고령화 영향
- 사망원인 암 > 심장 > 뇌혈관질환
고혈압 당뇨병 암(악성신생물) 등 만성질환에 대한 부담이 커지면서 진료비가 한 해 90조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만성질환으로 말미암은 진료비가 전체의 85%를 차지하고, 전체 사망자 10명 중 8명은 만성질환으로 인한 사망으로 조사됐다.
30일 질병관리청의 ‘2024 만성질환 현황과 이슈’ 자료에 의하면 지난해 기준 만성질환에 의한 사망은 27만5183명으로, 전체 사망의 78.1%를 차지했다. 10대 사망원인 중 만성질환에 따른 사망은 암(24.2%), 심장질환(9.4%), 뇌혈관질환(6.9%), 알츠하이머병(3.2%), 당뇨병(3.1%), 고혈압(2.3%) 등의 순으로 많았다.
노인인구가 늘어나면서 만성질환으로 인한 진료비 역시 크게 늘었다. 2020년 71조 원에서 2021년 78조 원, 2022년 83조 원, 2023년 90조 원 등 지속해서 증가하는 추세다. 만성질환 진료비는 지난해 기준 전체 진료비의 84.5%를 차지했다. 진료비 중에서는 순환계통 질환으로 말미암은 비용이 13조4000억 원으로, 만성질환 진료비의 14.89%를 차지했다. 이어 근골격계질환 12.9%, 암 11.2% 등의 순이었다.
단일 질환으로는 본태성(원발성) 고혈압에 의한 진료비가 4조4000억 원으로 가장 높았고, 2형 당뇨병이 3조1000억 원으로 뒤를 이었다.
최근 10년간 만성질환 유병률 추이를 보면 19세 이상 성인의 고혈압은 20∼22%, 당뇨병은 10% 안팎을 유지하며 정체 중이다. 반면 성인의 고콜레스테롤혈증은 2012년 11.9%에서 2022년 22.0%로 10년간 꾸준히 증가했다.
성인 비만율은 코로나19 유행 기간인 2020년 38.3%로 정점을 찍었다가 소폭 감소해 2021년 37.1%, 2022년 37.2%로 유지되고 있다.
성인의 현재 흡연율은 2022년 기준 17.7%로, 전년과 비교해 1.6%포인트 감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