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
총 게시물 583건, 최근 0 건
   
초중고 학생 6명 중 1명 비만
글쓴이 : 메디클럽 날짜 : 2025-03-11 (화) 10:48 조회 : 9

대사증후군 위험요인 ‘빨간불’


초중고 학생 6명 중 1명꼴로 비만이고, 비만 학생의 절반은 당뇨병이나 고혈압 등 대사증후군 위험 요인을 1개 이상 보유한 것으로 추정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비만 학생의 20%는 당뇨병 전 단계인 것으로도 나타났다.

9일 국민건강보험 건강보험연구원의 ‘아동·청소년 비만 예방 의료서비스 강화 방안 연구’에 따르면 영유아건강검진, 학생건강검진 표본조사 원시자료, 학교 밖 청소년검진 결과를 분석한 결과 2023년 아동·청소년의 비만 유병률은 각각 영유아 8.3%, 학생 16.7%로 나타났다. 영유아는 12명 중 1명, 초중고 학생은 6명 중 1명꼴로 비만인 셈이다. 과체중 또는 비만 유병률은 영유아 17.7%, 학생 27.3%로 집계됐다.

연구팀은 비만 학생을 대상으로 소아·청소년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인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비알코올성지방간질환 보유 여부를 별도로 파악했다. 이 분석에는 학생건강검진에서 비만 학생에게만 실시하는 혈액검사 결과를 활용했다.

그 결과 2023년 기준 비만 학생의 16.4%는 고혈압 전 단계, 6.5%는 고혈압으로 의심됐다. 비만 학생의 20.2%는 당뇨병 전단계, 1.1%는 당뇨병으로 추정됐다.

이상지질혈증 진단 기준에서 총콜레스테롤이 경계 수준인 비만 학생은 33.3%, 위험 수준인 비만 학생은 15.9%로 의심됐다. 비알코올성지방간질환 위험 범위에 있는 비만 학생은 39.1%였다. 대사증후군 위험 요인을 1개 이상 보유한 것으로 의심되는 비만 학생은 50.5%로 확인됐다.

이처럼 소아·청소년 시기에도 비만으로 인한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적절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의료계는 조언한다. 서울성모병원 류인혁(소아청소년과) 교수는 “비만한 아이들은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등 다양한 합병증 위험이 커진다”며 “최근에는 이런 질환이 성인이 되기 전인 청소년기부터 나타나는 경우가 적지 않다”고 밝혔다. 다만 류 교수는 “소아·청소년 비만의 경우 합병증을 동반하더라도 약물 치료를 우선 해서는 안 된다”며 “무리하게 체중을 줄이기보다 식습관과 생활 습관을 올바르게 개선하는 것이 치료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