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
총 게시물 624건, 최근 0 건
 
일주일에 사흘꼴 제대로 못 잔다면 치매 위험 높아져
글쓴이 : 메디클럽 날짜 : 2025-09-16 (화) 09:09 조회 : 5

美 카르발류 교수팀 연구


만성 불면증이 있으면 뇌 노화가 가속화하고, 치매나 경도인지장애(MCI)에 걸릴 위험이 불면증이 없는 사람보다 40%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출처=아이클릭아트
미국 미네소타주 메이오 클리닉 디에고 Z. 카르발류 교수팀은 미국신경학회(AAN) 학술지 ‘신경학(Neurology)’에서 노인 2750명을 대상으로 수면과 치매·경도인지장애 관계를 5년 이상 추적·관찰해 이런 연관성을 확인했다고 15일 밝혔다. 카르발류 박사는 “불면증은 다음날 기분이나 피로에만 영향을 미치는 게 아니라 장기적으로 뇌 건강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건강한 노인 2750명(평균 연령 70.3세)을 평균 5.6년간 추적·관찰했다. 이 중 16%가 만성 불면증을 겪고 있었다. 만성 불면증은 일주일에 3일 이상 수면에 어려움이 있고 이런 상태가 3개월 이상 지속하는 경우다.

참여자들은 매년 인지 검사와 기억력 검사를 받았다. 일부는 뇌 MRI·PET 검사를 통해 뇌 손상 흔적과 알츠하이머병 관련 단백질인 아밀로이드 플라크(amyloid plaques) 축적 여부를 확인했다. 연구 기간 경도인지장애나 치매로 발전한 비율은 만성 불면증 그룹이 14%로, 불면증이 없는 그룹(10%)보다 높았다. 나이, 고혈압, 수면제 복용, 수면무호흡증 같은 변수를 보정한 뒤에도 불면증이 있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경도인지장애나 치매가 생길 확률이 40% 더 높았고, 사고력 관련 검사 점수도 더 빠르게 떨어졌다.

또 과거 2주간 평소보다 잠을 덜 잔 그룹과 더 잔 그룹을 비교한 결과 수면이 감소한 그룹은 인지 검사 점수가 수면 증가 그룹보다 낮았고, 나이가 4살 더 많은 것과 같은 수준이었다. 특히 알츠하이머병의 유전적 위험 요인인 ‘APOE ε4’ 유전자를 지닌 사람은 뇌 백질 손상 징후와 아밀로이드 플라크가 더 많았고, 기억력과 사고력 저하 속도도 훨씬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카르발류 교수는 “사고력 저하가 더 빠르고, 뇌에 변화가 나타나는 것을 볼 때 만성 불면증은 미래의 인지 저하에 대한 조기 경고 신호일 수 있다”며 “불면증은 아밀로이드 축적뿐만 아니라 뇌혈관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