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
총 게시물 314건, 최근 1 건
 
“초미세먼지, 심근 섬유화 유발…심혈관 질환 위험 높여”
글쓴이 : 메디클럽 날짜 : 2025-07-08 (화) 11:29 조회 : 2

캐나다 토론토대 연구팀 논문, 대기오염 장기노출 위험 분석


대기오염 물질에 포함된 초미세먼지(PM2.5)가 심부전 전조가 될 수 있는 심근 섬유화(myocardial fibrosis)를 유발하는 등 대기오염에 장기간 노출되면 심장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캐나다 토론토대 케이트 해너먼 교수팀은 북미방사선학회(RSNA) 학술지 ‘방사선학(Radiology)’에서 건강한 사람과 확장성 심근병증이 있는 환자 등 690여 명의 심장 MRI 분석 결과 초미세먼지(PM2.5)가 심근 섬유화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며 7일 이같이 밝혔다.

해너먼 박사는 “이 결과는 대기질이 심장 구조 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고, 이는 심혈관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는 전 단계임을 보여준다”며 “대기오염 수준이 약간만 높아져도 심장에 측정 가능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해너먼 교수는 “대기오염에 노출되면 심장병, 특히 심근경색 위험이 커진다는 것은 이미 알려졌다”며 “이 연구에서 이 위험 증가가 조직 수준에서 어떤 메커니즘에 의해 발생하는지 밝히고자 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건강한 사람 201명과 심장이 혈액을 제대로 펌프하지 못하는 확장성 심근병증(dilated cardiomyopathy) 환자 493명에 심장 MRI를 적용, 심근 섬유화 정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PM2.5에 장기간 노출된 것과의 연관성을 평가했다. PM2.5는 직경 2.5㎛ 이하인 미세입자로, 폐를 통해 혈류에 침투할 수 있으며, 자동차 배기가스, 산업 배출, 산불 연기 등에서 많이 발생한다.

분석 결과 더 높은 농도의 PM2.5에 장기적으로 노출된 사람일수록 심근 섬유화 수치가 더 높았으며, 이런 경향은 심근병증 환자뿐만 아니라 건강한 대조군에서도 비슷하게 나타났다. 또 PM2.5 노출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그룹은 여성 흡연자 고혈압 환자인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팀은 이 연구는 흡연이나 고혈압 같은 기존 임상 예측 인자만으로는 설명이 안 되는 심혈관 질환 위험에 대기오염이 한 요인으로 작용함을 시사한다며 심근 섬유화가 대기오염이 심혈관 합병증을 일으키는 기저 메커니즘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연구에서 참여자들의 대기오염 노출 수준은 전 세계 대기질 지침 기준보다 낮았음에도 심장에 악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난 데 대해 대기오염에 ‘안전한 노출 수준은 없다’는 점을 잘 보여준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